지난 글에서 클라우드웨이즈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설치되는 무료 캐시플러그인인 breeze의 설치와 세팅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그리고 유료 플러그인으로 두가지를 추천했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과연 유료 플러그인이 무료 플러그인과 어느 정도의 속도차이를 보이는지 재미로 한 번 테스트 해보고 결과를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아직 워드프레스를 이용해보지 않으셨다면, 아래 경로로 쉽게 여러분의 워드프레스를 무료로 뚝딱 설치해 보세요. 별도의 도메인이 없어도 3일 간 체험을 통해 워드프레스의 매력을 느껴보실 수 있습니다.
속도측정 비교 방법
먼저 캐시플러그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무료 플러그인 브리즈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위 글에서도 썼지만 무료 플러그인으로도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씀을 드렸었죠. 그래서 이번에는 재미있는 테스트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워드프레스에서 캐시플러그인을 전혀 쓰지 않았을 때와, 무료 캐시플러그인을 썼을 때,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료 플러그인을 썼을 때 과연 제값을 할 정도로 속도측정 테스트를 한 번 해 봤습니다. 한 사이트로만 하면 비교 대상이 없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진 않겠지만 각기 다른 3가지의 워드프레스로 테스트 했습니다.
사이트 종류
- 1번 사이트 : 메인화면 상단 구글광고 있음 + Post X 플러그인
- 2번 사이트 : 메인화면 상단 구글광고 없음 + Post X 플러그인
- 3번 사이트 : 메인화면 중간 구글광고 있음 + Post X 플러그인 없음
속도 비교 방법(각각 3회)
- 1. 캐시플러그인을 없음 : 모바일 + PC 속도 측정
- 2. 무료 캐시플러그인(breeze) : 모바일 + PC 속도 측정
- 3. 유료 캐시플러그인(WP-Rocket) : 모바일 + PC 속도 측정
- 페이지 속도측정 도구 : Google PageSpeed Insights
Google PageSpeed Insights 란?
PageSpeed Insights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성능 분석 도구입니다. 웹 사이트의 주소를 넣게되면 로딩 속도와 성능을 평가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빠른 웹 사이트 속도를 통해 검색 엔진 최적화 (SEO)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ageSpeed Insights의 주요 기능
- 웹 페이지 로딩 속도 평가: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측정하고, 데스크톱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성능을 분석합니다.
- 성능 최적화 제안: 웹 페이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최적화, 렌더링 최적화, CSS 및 JavaScript 최적화, 브라우저 캐싱, 서버 응답 시간 최적화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룹니다.
- 모바일 및 데스크톱 분석: 모바일 기기 및 데스크톱에서의 웹 페이지 성능을 각각 분석합니다.
- SEO 측면: 웹 페이지의 성능이 SEO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캐시 플러그인을 써서 웹 로딩 속도가 짧아지게 되면 결국에는 SEO에 도움이 되고, 그 말인 즉슨 검색결과에서 조금이나마 앞단에서 노출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합니다. 보장한다는 건 아니구요. 그런 속도 테스트를 하기 위한 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속도 비교 테스트 결과
1번 사이트 측정
- 메인화면 상단 구글광고 있음 + Post X 플러그인
- 참고로 Post X 플러그인은 메인화면의 UI를 좀 보기좋게 꾸며주는 플러그인입니다. 결론적으로 테스트 이후 속도면에서 그다지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아서 싹 날렸습니다.
1번 캐시플러그인 없음
- First Contentful Paint : 첫 번째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 Total Blocking Time : TBT는 마우스 클릭, 화면 탭 또는 키보드 누름과 같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페이지가 응답하지 못하도록 차단된 총 시간을 측정합니다.
- Speed Index : 속도 지수는 페이지 콘텐츠가 얼마나 빨리 표시되는지 보여줍니다
- Largest Contentful Paint : LCP는 뷰포트에서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화면에 렌더링되는 시기를 측정합니다. 이는 페이지의 주요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대략적인 시간입니다.
- Cumulative Layout Shift : 레이아웃 변경 횟수
자 일단 캐시 플러그인이 없는 상태로 1번 사이트의 모바일과 PC속도 비교입니다. 뭐 자세한 건 모르셔도 되지만 초록색은 괜찮은거고 빨간색은 별로다 라는 건 보이실 거에요. 그리고 확실히 모바일보다 PC가 속도가 빠르고 점수가 높습니다.(39 vs 77) 이제 이 사이트에 브리즈를 활성화 시키고 속도를 재 보았습니다.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
1번 무료 캐시플러그인(breeze)
무료 캐시플러그인을 깔고나니 플러그인이 없을 때보다 확실히 점수는 좀 올랐습니다.
- 성능점수 : 모바일 39점 > 55점 / PC 77점 > 82점
- 개별적인 항목의 시간이 약간 빨라졌습니다.
1번 유료 캐시플러그인(WP-Rocket)
드디어 기다리던 브리즈와 로켓의 속도비교입니다.
- 성능점수 : 모바일 55점 > 34점 / PC 82점 > 86점
- 개별적인 항목의 시간이 느려진 것도 있고 빨라진 것도 있습니다.
- 점수는 올랐으나 뭔가 찜찜한 느낌
그래서 두 번 더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2번 사이트 측정
- 메인화면 상단 구글광고 없음 + Post X 플러그인
- 1번 사이트와 비교해서 메인페이지에 구글광고가 없을 때의 비교입니다. 예상컨데 광고가 없으면 더 빨라질 것 같지만 플러그인이 얼마나 느려지게 하는지 궁금하네요
2번 캐시플러그인 없음
이제 모바일보다 PC속도가 높은건(56 vs 80) 당연히 알겠네요.
이번엔 메인 광고가 없으니 상단 광고가 있던 1번사이트와 비교를 해보면, 모바일 39 > 56 / PC 77 > 80 으로 광고만 없애도 속도가 개선이 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2번 사이트에서 브리즈를 깔았을 때 속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번 무료 캐시플러그인(breeze)
2번 사이트 캐시 플러그인이 없었을 때와 비교했을 때 모바일 56점 > 57점, PC의 경우 80점> 89점 로 점수가 올라갔습니다. 89점은 역대급이네요. 자 그럼 이 상태에서 로켓 플러그인과 비교를 한 번 해 봅시다.
2번 유료 캐시플러그인(WP-Rocket)
네 브리즈와 비교해 봤을 때 이번에도 로켓이 조금 더 앞서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은 57로 동일하고 PC에서 89점 > 91점으로 처음 90점 대를 찍었습니다. 광고를 없애니 속도가 빨라진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첫 페이지에 중간 광고는 있지만 플러그인을 없앤 상황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번 사이트 측정
- 메인화면 중간 구글광고 있음 + Post X 플러그인 없음
- 1번 사이트와 비교해서 메인페이지에 상단 광고가 없을 때의 비교입니다. 예상컨데 더 빨라질 것 같지만 플러그인이 얼마나 느려지게 했었는지 궁금하네요
3번 캐시플러그인 없음
모바일 68점, PC82점으로 캐시가 없는 사이트들 끼리 비교했을 때도 가장 점수가 높았습니다. 역시 상단 광고도 빼고 플러그인도 빼니 점수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번 무료 캐시플러그인(breeze)
캐시 없을 때와 비교해보면 모바일 68점 > 88점, PC 82 >90 점으로 향상되었습니다. 그럼 대망의 로켓 플러그인을 한 번 보겠습니다.
3번 유료 캐시플러그인(WP-Rocket)
로켓을 깔고 브리즈와 비교했을 때 모바일 88 >84점, PC 90점 >91점으로 변했습니다.
결론
이렇게 아주 정확하게 변수를 통제한 테스트는 아니지만 대략의 방향성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캐싱플러그인은 무조건 무료라도 깔아야 한다.
- 첫 페이지에 광고나 UI관련 플러그인이 없으면 점수가 더 높다.
- 무료 플러그인보다 유료플러그인이 미세하게 점수가 더 높다.
무료플러그인인 브리즈와 WP-Rocket의 비교는 3차례에 걸쳐서 로켓이 모바일에서는 왔다갔다 하고 PC에서는 근소하나마 몇 점이라도 앞서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 만약 유료 플러그인을 사서 쓰실 의향이 있으시다면 쓰셔도 좋구요, Breeze 같은 무료 플러그인이라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다만 여기서 테스트해볼 수는 없었지만, 유료 플러그인 사용으로인해 차이나는 점수 몇 점이 구글 검색에서 상단 노출이냐 2페이지 노출이냐를 갈라놓는 문제가 된다면 충분히 구매의 필요성은 있겠죠. 하지만 어디를 찾아봐도 속도가 SEO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도로만 나오지 노출과 색인에 연관되는 개연성은 확인할 수 없더라구요.
게다가 필연적으로 상단 광고가 수익에 도움이 되는 상황에서 광고를 달게 될텐데요, 그러면 더더욱 플러그인에 따른 속도의 차이는 체감상 적어질 듯 하구요. 무료 플러그인이어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